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데이터 분석 썸네일
자연재난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데이터 분석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강사업대책 방안을 마련한 사례

등록일자

2023-02-02

※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발생현황
[1978~2022년 국내 지진 발생 현황] / 디지털 관측(1999년 이후) 평균 70.6회(1999~2021) . 그래프 / 디지털 관측 이후 지진 규모 2.0 이상 연평균 70.6회, 3.0 이상 연평균 10.5회 발생, 1978~2019년 동안 규모 4.0 이상 총 50회 발생, 2016년 9월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역 역대 최고 규모(5.8M)의 지진 발생 / ※출처: 기상청 국내지진 발생 현황

규모가 2.0 이상 지진발생 증가 추이로 인한 내진보강 필요성에 관한 관심 증가

[연도별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율 현황] / 그래프 / 2022년 기준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 추진 결과 전국 기준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율(내진율) 75.1% 달성 / ※출처: 행정안전부 / [연도별 내진보강 현황] 공공시설물 내진 보강은 2017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을 수립 후 2019년까지 내진 보강건수가 급증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율(내진율) 75.1% 달성
2023년 4월 행정안전부 지진방재정책과 보도자료에 의하면 전국 공공시설물 내진율 2025년 80.8%, 2030년 91.6%, 2035년 100% 달성을 목표로 내진보강사업 진행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