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산불위험요인(영농부산물) 제거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썸네일
자연재난

산불위험요인(영농부산물) 제거 지원을 위한 데이터 분석

산불위험요인(영농부산물) 우선 제거 필요지역 선정 및 운영인력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영농부산물 처리대책을 마련한 사례

등록일자

2023-02-02

※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검토배경
 <표1>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원인별 산불 발생 현황 및 비율 단위: % 구분 12-29 3~6월 7-99 10~12월 합계 유형별 비율 입산자 실화 369 1.142 99 253 1.863 33.1 논·밭두렁 소각 150 518 10 31 709 12.6 쓰레기 소각 178 452 16 63 709 12.6 85 187 6 44 322 5.7 성묘객실화 52 92 15 7 166 3.0 어린이 불장난 12 8 о 1 21 0.4 건축물 실화 125 158 5 50 338 6.0 기타 408 825 62 199 1.494 26.6 합계 1.379 3.382 213 648 원빈 비슈 5.622 (100.0) 24.5 60.2 3.8 11.5 자료: 산림청(2023), 2022년 산불통계연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원인별 산불 발생 현황 및 비율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산불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약 60.2%의 산불이 봄철인 3월과 6월 사이에 발생하고 유형별로는 입산자 실화가 33.1%로 가장 높았고, 논·밭두렁 소각과 쓰레기 소각이 각각 12.6%로 높음

그림 2 전체 산불빈도에서 영농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차지하는 비율 2012 (환경변화) 기후변화와 숲의 연료물질은 매년 증가하여 산불에 취약한 구조 ᄋ 기후변화에 따른 봄철 기온 상승 및 강수량 부족으로 단위 % 2016 2017 2018 * 2-5월) 강수량 및 입수 최근 10년간 30일 (20년 *(2~5월) 건조특보 수 : (최근 10년) 62일 (20년) 73일 대응에 불리한 여건 28일 (21년 25일 (21) 60일 특히 금년 1월의 산불 발생위험은 해수면 온도상승, 낮은 상대습도로 인해 대 상승하여 산불조심기간이 늘어날 전망 1월 평균 산불발생 비율: 1005-0000062%→20100745%/ (21) 130% ᄋ 우리나라 산림은 산불에 취약한 침엽수 비율이 높은 임상구조 및 산악 지형 •영상 산림면적(3) 엽수림 37 활엽수림 32 혼효림 27 무렵꼭지 등 4 동해안의 강한 산불발생 가능성 증가 및 대형화 우리 최근 20년 지역별 대형산불 39건 중 강풍발생이 높은 강원 동해안 지역 20건(31g 주 영농부산물 원인의 산불비율은 전체 산불빈도에서 논·밭두렁 소각과 쓰레기 소각 원인 빈도 산불의 비율로 나타냄. 자료 (2019), “한국의 지역별 산불 발생 원인 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를 참고하여 처자 작성 , 영농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차지하는 비율  <2022 산림청 k-산불방지 종합대책>

볏짚, 콩대, 깻대, 전정가지, 깎지 등이 영농부산물에 속하며 영농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산불은 전체 산불 발생의 15~30% 비율을 차지하며 발생 비율이 감소하지 않는 추세
기후변화에 따른 봄철 기온 상승 및 강수량 부족으로 산불대응에 불리한 여건 ( 금년 1월의 산불 발생위험은 해수면 온도상승, 낮은 상대습도로 인해 대폭 상승하여 산불조심기간이 늘어날 전망)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세스
 데이터 수집목록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1종)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2023.06) 분석 프로세스 현황분석 ᆞ산림인접마을(100M) 재배면적을 통한 영농부산물 생산 및 발생량 추정 산림인접마을 영농부산물 재배면적 대비 발생량산출 현황 최근 3년간 시도별 소각관련 산불추이 기상 현황 환경재난대응과 제공 (2종) 산림100m 재배면적(2023.06) •소각산불발생 / 차단 통계 (2021.01-202305)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수급 (2종) ・월별 방재기상관측자료/관측소 위치정보(2022)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포털 수급 (2종) ・(센서스 경계) 시도/시군구 경계 (2023.06) 전국시도별 산불위험요인분석 •소각관련 산불위험요인 현황분석을 통해 확인된 의미있는 변수도출 소각관련 산불발생 건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값 봄/가을철 평균 기상 (온도, 풍속, 강수량) 각 변수별 표준화하여 최종 산불위험요인 우선관리지역 산출 산불위험요인(영농부산물) 우선관리지역 분석 •점수가 높은 순으로 산불위험요인(영농부산물) 우선관리지역 도출 파쇄기 필요대수추정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량과 처리기간 대비 파쇄기 처리시 필요한 파쇄기 대수를 추정하여 결과도출
데이터 구분 데이터 상세구분 점수화 방안 ·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기준으로 산출한 작물별 전국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값(0~1점) 영농부산물(0~1)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값(t) ·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값] 소각산불(0~1) 소각산불발생/차단 건 전체 대비 지역별 소각산불 발생 및 사전차단(발각)건수 (0~1점) [소각산불 발생 건] + [소각산불 차단 건] 봄철(2~5월), 가을철(11~12월) 대상 지역별 최대기온평균, 최대순간풍속평균, 월강수량평균 산출 최고기온이 높을수록, 풍속이 강할수록, 월강수량이 낮을수록 소각산불 우선관리 필요지역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도출 (0~2점) 봄, 가을철 최고기온 평균 · 기상(0~1) 봄,가을철 최대순간풍속 평균 • [최고기온 평균] + [최대순간풍속 평균] [월강수량 평균] 봄, 가을철 월강수량 평균 • 도출된 점수를 0~1사이로 값으로 변경 (0~1점) <산불위험요인 점수화 방안 >
분석 결과 요약
지목별 주요작물별 재배지역 구성비(%) 고추 창제 5.7% 1.4% 11.4% 사과 21.7% 22.6% 37.2% 재배면적은 '콩'이 가장 넓지만 영농부산물은 '배,사과' 로부터 많이 발생 [주요작물 재배 면적대비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t/ho)] 경상북도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14.5 충청남도 26 33 최근 3년 전체 월별 소각산불(건)분포 발생 |차단 144 105 94 155 83 65 50 34 33 1 2 3 4 5 6 7 8 9 10 11 12 봄(3월)과 가을(10월) 소각산불 집중 발생 시도별 소각산불우선관리지역 순위 영농부산물 소각산불 기상 12.2 우선 시도 영농부산물 소각관련_산불 최고기온 발생량_추산) (발생+발각)건수(건) 평균(C) 최대순간 풍속평균(%) 월강수량 순위 선 위 평균() 경상북도 253,663.8 100 31.4 21.4 406.5 1 경상남도 49,450.0 164 32.6 193 356.3 2 충청남도 58,790.7 149 32.7 185 3540 3 경 기도 46,618,7 137 32.2 21.2 419.7 4 충청북도 75,297,7 78 32.4 19.7 379.2 5 경북 경남 충남 순으로 소각산불을 대비하여 우선 관리가 필요함
소각산불 위험요인 분석 결과
시도별 영농부산물 발생량 추산(t) 시도별 최근 3년 소각관련 산불(건)분포 시도별 기상요인분포 강원 인천 57.572 94 2.664 경기 46,619 충남 세종 75,298 58.791 3770 경북 대전 253,654 전북 1917 41.254 광주 721 전남 44,121 인천 22 경기 137 충남 서 149 3 ON 강원 32 인천 강원 0.217 경북 0.180 제승 0.256 경북 1.000 0.339 대전 0228 대신 하미 169 전북 21 울산 울산 경남 경남 5,157 49,450 164 부산 0.000 631 전남 전남 0.204 제주 3.175 253,654 제주 169 제주 0.202 0.147 울산 0,100 0.000 1.000

주요작물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경상북도 지역에서 영농부산물 발생량이 가장 높게 추산됨
경상북도 지역은 영농부산물 발생량(추산)과 함께 산불도 빈번하게 발생
최고기온, 최대풍속, 월강수량을 통해 산출된 산불발생 위험 기상요인은 세종 > 서울 > 경기 > 경북 순으로 높게 나타남

소각산불 우선관리지역 분석 결과
전국 시도별 소각산불 우선관리지역 우선순위 영농부산물 소각산불 가상 전국 시도별 소각산불 우선관리지역 순위 경북 경남 충남 소각관련 산불 우선 시도 영 농부산물 발생량추산() 최고기온 최대순간 (발생+발각건수 평균(°C) (21) 풍속평균(%) 일강수량 기상요인표준화 평균 기온+풍속-강수량) 순위 경북 253.653.8 160 31.4 21.4 4065 0.339 1 강원 인천 10 경기 경남 49,450.0 164 326 193 356.3 0.184 2 충남 58,790.7 149 327 185 354.0 0.180 3 경기 46,618.7 137 322 21.2 419.7 0378 4 중복 75,297.7 78 324 19.7 3792 0.256 5 전남 44,121.2 82 32.3 184 361.9 0204 6 충남 사용 3 17 16 9210 경북 1 강원 57,571.8 32 31.8 205 366.3 0217 7 전북 대구 1,341.0 25 324 20.1 343.1 0.147 8 경남 전북 41,254,5 21 324 17.8 3605 0.199 9 인천 2,0640 22 31.1 21.2 350.8 0170 10 제주 3,1752 1 32.1 200 361.3 0.202 11 부산 630.6 10 33.3 183 403.8 0331 12 전남 광주 7214 11 31.5 180 2945 0.000 13 울산 51573 9 33.0 163 327.6 0.100 14 서울 943 5 31.2 21.0 457.5 0,493 15 대전 1,917.3 7 33.5 146 370.0 0228 16 세종 3,7701 3 290 208 625.3 1,000 17 11 쉽게 642,450.5 922 울산 14

우선순위가 높은 경북의 경우 재배면적이 가장 넓고 영농부산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배와 사과의 재배량이많음-타 지녁대비소각산불은 경상도 지역이 빈번하게 발생함
산불발생 위험 기상요인 또한 타 지역 대비 경북이 상위로 조건에 만족하는 지역으로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