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취약계층 사고현황 분석을 통한 맞춤형 안전관리대책 수립
울산광역시 안전취약계층*별 사고현황과 위험요인을 도출을 하여 맞춤형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한 사례
*안전취약계층 : 65세 이상 독거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청소년가장 (울산광역시 안전취약계층 지원 조례 제5조)
등록일자
2023-12-12※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검토배경울산광역시 한해 구급 신고 건수가 19,800건(2020년)으로 특히 남구 지역의 구급 신고 건수는 인구수와 비례하여 집중되고 있음
계절별로는 여름철에 사고가 집중되고, 60대 이상 고령 인구가 37.7%(2019년)로 가장 많은 사고 비중을 차지함
급증하는 고령 인구와 아동,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은 사고 발생 시 위험 노출이 집중되므로, 안전취약계층의 사고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대책 수립이 필요함
현황분석은 6개 안전취약계층 모두 진행하였으나, 우선 안전관리 필요지역 및 사고 위험요인 도출은 청소년가장과 다문화가족은 데이터 불충분 또는 누락으로 제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