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안전취약계층 사고현황 분석을 통한 맞춤형 안전관리대책 수립
사회재난

안전취약계층 사고현황 분석을 통한 맞춤형 안전관리대책 수립

울산광역시 안전취약계층*별 사고현황과 위험요인을 도출을 하여 맞춤형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한 사례

*안전취약계층 : 65세 이상 독거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청소년가장 (울산광역시 안전취약계층 지원 조례 제5조)

등록일자

2023-12-12

※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검토배경
 [울산시 연도별 구급 신고건수 현황(2016~2020)] 13,954 14000 13,320 13,455 12000 10000 8000 6000 12,809 4000 2016 2017 2018 2019 2020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출처:울산광역시 구조·구급 신고현황을 활용한 안전취약요인분석 보고서 ᆞ울산시 남구의 구급 신고건수는 인구수와 비례하여 구급신고건수 집중 ᆞ울산시 한해 구급 신고건수 19,800건 (2020년) <울산시 연도별 구급 신고건수 현황(2016~2020)>

울산광역시 한해 구급 신고 건수가 19,800건(2020년)으로 특히 남구 지역의 구급 신고 건수는 인구수와 비례하여 집중되고 있음

20000 15000 [울산시 월별 구급 신고건수 현황(2019)] LEROSA 14,112 18,220 14,064 38.00 17,334 1000 14000 35000 110 14000 [울산시 연령별 구급 신고건수 현황(2019)] 32,050 21.348 14,748 13.767 36.563 60,886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일 2019년 7월~10월 4개월간 구급 신고건수는 전체 212.951건 중 75.495건(35%) ※출처:울산광역시 구조·구급 신고현황을 활용한 안전취약요인분석 보고서 10대 20대 30대 40대 SOCH 60대이상 •60대 이상 구급 신고건수는 37.7% ᆞ울산시 구급 신고건수의 지역별 편차가 큼 <울산시 연도별 구급 신고건수 현황(2016~2020)>

계절별로는 여름철에 사고가 집중되고, 60대 이상 고령 인구가 37.7%(2019년)로 가장 많은 사고 비중을 차지함
급증하는 고령 인구와 아동,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은 사고 발생 시 위험 노출이 집중되므로, 안전취약계층의 사고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대책 수립이 필요함

데이터 수집
 울산광역시 제공 (5종) • 119구조·구급 데이터 (2018~2022) . 안전취약계층현황 (2023.07) •보호시설 (2023.07) 안전시설 (2023.07) 다중이용시설 (2023.07) 공공데이터 포털 수급 (1종) •주민등록인구(2023.07)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포털 수급(3종) . 건축물 연령 (2023.07) •100m 격자 인구통계 (2023.07) . 행정구역 경계 (2023.07) *안전취약계층현황 데이터 수집시 행정동별 인구는 전체, 격자별 인구는 남구지역(다문화가족 제외)만 제공됨
그 외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전체 프로세스
현황분석 안전취약계층 현황 119구조·구급 노후 건축물 보호시설, 안전시설, 사고현황 현황 다중이용시설 분포 우선 안전관리 필요지역 도출 취약계층 인구수 + 119사고 건수 + 노후 건축물 수 ・각 변수별 0~1 사이 값으로 정규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여 점수화 ・점수가 높은 지역(1~5단계 등급)이 우선 관리 필요 대상 지역 가중치 산출방식은 엔트로피분석기법을 이용함 사고 위험요인 도출 취약계층 취약지역 취약계층 사고현황 취약계층 사고현황 특성 (시기별, 유형별) 주요 키워드
가중치 산출 절차
데이터 정규화 엔트로피 값 산출 요인별 가중치 도출 요인별 속성값은 서로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정규화 필요 •MIN-MAX방법(0~1값으로 변환)으로 정규화, 발생확률 대신 사용(P) (i는 각 요인,)는 지역(행정동/격자)) xy-min(x) Pu= max(x)-min(x) • 각 요인별 속성값의 분산이 크면 엔트로피값이 크게 산정 엔트로피를 계산하면 각 요인별 가중치를 정해줄 수 있음 •k는 대상지역의 개수를 고려한 상수(k=1/log2(m)) E-k2PjlogzPis =1 ・요인별 속성 값의 다양성(d)을 산정한 후 가중치(W) 산출 속성 값의 응집도가 클수록 가중치는 크게 산정
분석결과 결과 요약
 울산광역시 안전취약계층 현황(천명) 2018~2022년 사이 취약계층 대상 119 구조, 구글 사고 건수는 1,329 울산광역시 주민등록인구 1,106,015명 안전취약계층인구: 159,009명 9 안전취약계층별 현황 15,000 12,000 (인구 대비 14.4%) 9 안전취약계층별 사고 위험요인 동구 복구 812 독거노인 장애인 겨울철 낙상사고 및 질환 심신쇠약등생활안전사고 신체기능저하 넘어진 문장 외로움 등 일상생활안전사고 의식장애 사고 정신건강사고 전동차 이동 보행사고 문장 등 실신, 호흡곤란 등 연락두절. 확인 무기 우울증, 자살시도 등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 노후주택 주거환경사고 경제적생활환경질환 정신건강사 자녀양육관련안전사고 자녀양육 관련질환 정신건강사고 노후 전기누전 만성질환 식품안전문제 의료서비스 접근성 생활 주 문 교통안전사고 등 등학교 고열, 복통, 구토 등 무기력, 신 등 우울감 자녀양육스트레스 경제적 어려움

현황분석은 6개 안전취약계층 모두 진행하였으나, 우선 안전관리 필요지역 및 사고 위험요인 도출은 청소년가장과 다문화가족은 데이터 불충분 또는 누락으로 제외됨

취약계층별 분석 결과
독거노인 • 남구에서 신정3동, 야음장생포동 부근 취약지역으로 나타나며, 다가구,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으로 노후건축물이 많고, 특히 야음장생포동은 타 지역에 비해 보호시설 • 119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겨울철 1.2월이며, 오전10시간대 •주요 사고유형은 전신쇠약으로 인한 구급요청과 연락두절로 인한 문개방 신변확인 구조요청 • 출동내역의 주요 키워드는 의식, 문개방/개방 활력 등으로 나타남 남구지역 취약지역 119 사고현황 장애인 남구에서 신정3동, 야음장생포동 부근 취약지역으로 나타나며, 다가구,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으로 노후건축물이 많고, 야음장생포동 부근에 장애인이 많이 거주함 ● 119사고는 계절상관없이 일상 속 사고위험에 항상 노출됨 ● 주요 사고유형은 경련/작전신쇠약으로 인한 구급요청과 전동차 관련 안전조치와 연락두절로 인한 문개방, 신변확인 구조요청 출동내역의 주요 키워드는 뇌전증, 의식, 경련, 관찰, 보호자 등으로 나타남 남구지역 취약지역 119 사고현황 기초생활수급자 남구에서 신정3동, 야음장생포동 부근 취약지역으로 나타나며, 야음장생포동 부근은 노후건축물이, 신정3동 부근은 기초생활수급가 많은 것으로 확인됨 • 119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여름철 6.9월이며, 오전9시간대 •주요 사고유형은 통증, 전신쇠약으로 인한 구급요청과 연락두절로 인한 문개방 신변확인 구조요청 ●출동내역의 주요 키워드는 관찰, 활력, 의식, 통증, 호흡 등으로 나타남 남구지역 취약지역 119 사고현황 한부모가족 ・남구에서 신정3동, 삼호동 부근 취약지역으로 나타나며, 다가구,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으로 노후건축물이 많고, 전담보호시설은 없음 •119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여름철 7.8월이며, 하교시간 오후12시간대 •주요 사고유형은 자녀 양육 관련 고열, 복통, 경련 등 구급요청과 차량(잠김), 자살추정 등 구조요청 ●출동내역의 주요 키워드는 보호자, 아동, 진료의식, 체온 등으로 나타남 남구지역 취약지역 119사고현황 3 야음장생포동 삼호동 119 사고 워드클라우드 구글 119사고 워드클라우드 119 사고 워드클라우드 관찰 119 사고 워드클라우드 지료 츠저 캐바 증 경의사 보호자 EN 호호 평보호자의식 관찰아도 172 428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