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자동심장충격기(AED) 활용도 제고를 위한 설치장소 분석
사회재난

자동심장충격기(AED) 활용도 제고를 위한 설치장소 분석

접근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장소에 AED(자동심장충격기)를 신규 설치하여 응급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입지 분석을 실시한 사례

등록일자

2023-12-12

※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검토배경
  • 급성심정지 발생 시 4분 이내에 자동심장충격기(AED)를 활용한 응급처치를 시행하면 환자의 생존율을 80%까지 높일 수 있음
  • 자동심장충격기의 추가 설치 및 오래된 기기 교체가 필요하며 이때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위해 분석 기반의 입지선정이 필요함
  • 심정지환자 발생위치, 심폐정지환자 심폐소생술 실시현황, 자동심장충격기 설치장소 등을 분석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최적의 설치장소 분석을 목표로 함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 목록 소방청 제공2종 구급활동일지 데이터 2018.01~2023.08 심폐정지환자응급처치 세부상황표 데이터 2018.01~2023.08 국립중앙의료원 수급 1종 AED현황 2023.10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 수급 1종 격자별 인구 2021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수급 1종 격자별 고령인구 2023.04
그 외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전체 프로세스
분석 프로세스 현황분석 AED 설치 현황 OHCA 병원 밖 심정지 발생 현황 AED 커버리지 비교 상관분석 AED 설치 우선 필요 지역 도출 OHCA병원 밖 심정지 발생 건수 , 총 인구 수 , 고령 인구 수를 활용한 AED 우선 설치 필요 지역 도출 과거 OHCA 발생 건수 인구 수 고령 인구 수 머신러닝 적용 위험도 도출 AED 우선 설치 지역 시각화 등 격자별 AED 우선 설치 필요 지역 도출 결과 시군구별 우선 설치 지역 목록화
분석 결과
 최근 5년(2018.1~20238) 간인구 10만명당 병원 밖 심정지 발생률 0 200 400 600 강원특별자치도 507 제주특별자치도 505 전라남도 499 충청남도 478 충청북도 전라북도 471 463 경상북도 463 부산광역시 457 경상남도 399 울산광역시 340 인천광역시 321 경기도 307 대구광역시 306 대전광역시 301 서울특별시 282 광주광역시 259 세종특별자치시 189 전국 358 <최근 5년간 인구 10만 명당 병원 밖 심정지 발생률

2018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119 출동 기준 인구 10만 명당 병원 밖 심정지(OHCA) 발생률은 전국 358명으로 강원(507명), 제주(505명), 전남(499명), 충남(477명), 충북(471명) 등의 순.

기존에 설치된 AED(자동심장충격기)의 커버리지율은 전국 14.9% *AED 커버리지율 전체 병원 밖 심정지(OHCA) 발생건수 중 100m 이내에 AED가 설치된 건의 비율 시도별 AED(자동심장충격기) 커버리지율 분포 단위: % <기존에 설치된 AED의 커비리지율> 22.5 20.0 17.5 15.0 12.5 10.0. 7.5
커버된OHCA수 1) AED의 입지와 관련한 많은 연구에서 설정한 AED의 서비스 반경은 100m. 100m는 일반인이 3분 이내에 걷거나 뛰어서 AED를 가져올 수 있는 거리 시/도 (가장 가까운 AED에서 전체 OHCA 수 커버(거리 100M이내)비율 발견자 AED 부착률 OHCA발생 장소까지 거리 100M 이내) 서울특별시 6,536 26,494 24.7% 5% 광주광역시 906 3,682 24.6% 6% 대구광역시 1,723 7,279 23.7% 4% 대전광역시 890 4,342 20.5% 7% 인천광역시 1,942 9,598 20.2% 6% 부산광역시 2,686 15,074 17.8% 5% 세종특별자치시 128 728 17.6% 6% 제주특별자치도 473 3,416 13.9% 9% 경기도 5,671 41,817 13.6% 6% 울산광역시 459 3,748 12.3% 5% 경상남도 1,428 12,990 11.0% 4% 충청북도 762 7,509 10.2% 5% 전라남도 830 9,014 9.2% 6% 충청남도 914 10,171 9.0% 6% 전라북도 669 8,135 8.2% 5% 강원특별자치도 542 7,751 7.0% 8% 경상북도 722 11,830 6.1% 5% 합계 27,281 183,578 14.9% 6%

기존 AED의 커버리지율(병원 밖 심정지 발생 전체 건수 중 100m 이내에 AED가 설치된 건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14.9%의 비율을 보였으며 서울특별시의 커버리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커버된OHCA 환자발생장 (가장 가까운 AED에서 전체 OHCA 수 커버(거리 100M이내)비율 발견자 AED 부착률 OHCA발생 장소까지 거리 100M 이내) 학교/교육시설 108 480 22.5% 23% 운동시설 244 1,193 20.4% 15% 의료관련시설 2,145 10,685 20.0% 12% 도로외교통지역(이면도로) 1,191 5,940 20.0% 7% 오락/문화시설 296 1,838 16.1% 10% 집 18,532 117,114 15.8% 4% 기타 1,243 8,428 14.7% 8% 상업시설 1,013 6,929 14.6% 6% 집단거주시설 976 7,303 13.3% 7% 도로 1,053 13,189 7.9% 6% 공장/산업/건설시설 234 4,248 5.5% 9% 바다/강/산/논밭 246 6,231 3.9% 8% 합계 27,281 183,578 14.9% 6%

환자 발생 장소별로는 학교/교육시설(22.5%), 운동시설(20.5%), 의료 관련시설(20.1%), 도로 외 교통지역(20.1%) 등이 비교적 커버리지 정도가 높게 나타남

월별 OHCA(병원 밖 심정지 발생량 비교: 환자 발생 장소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공장/산업/건설시설 341 316 429 362 382 385 410 409 273 345 328 348 4,328 기타 905 836 853 772 714 645 615 670 569 647 642 706 8,574 도로 1,217 1,032 1,170 1,118 1,206 1,119 1,108 1,198 992 1,212 1,069 1,083 13,524 도로교통지역 552 484 585 515 521 444 508 455 440 494 472 527 5,997 바다/강/산/논밭 393 375 550 611 609 635 735 802 559 522 385 294 6,470 상업시설 747 613 678 686 545 508 524 536 409 531 583 631 6,991 오락/문화시설 185 173 171 150 144 154 157 125 110 161 155 172 1,857 운동시설 104 68 89 104 121 109 107 123 98 82 。 88 888 95 1,217 의료관련시설 1,073 935 1,030 906 876 760 884 930 786 814 857 929 10,780 집 12,164 10,520 11,432 10,401 10,082 9,071 9,414 9,720 7,927 8,699 8,931 10,202 118,563 집단거주시설 765 646 776 630 633 567 589 618 466 524 547 611 7,372 학교/교육시설 40 28 47 41 49 45 48 46 23 44 45 32 488 합계 18,486 16,047 17,825 16,313 15,870 14,440 15,115 15,607 12,636 14,090 14,102 15,630 186,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