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심장충격기(AED) 활용도 제고를 위한 설치장소 분석
접근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장소에 AED(자동심장충격기)를 신규 설치하여 응급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입지 분석을 실시한 사례
등록일자
2023-12-12※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검토배경2018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119 출동 기준 인구 10만 명당 병원 밖 심정지(OHCA) 발생률은 전국 358명으로 강원(507명), 제주(505명), 전남(499명), 충남(477명), 충북(471명) 등의 순.
기존 AED의 커버리지율(병원 밖 심정지 발생 전체 건수 중 100m 이내에 AED가 설치된 건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14.9%의 비율을 보였으며 서울특별시의 커버리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환자 발생 장소별로는 학교/교육시설(22.5%), 운동시설(20.5%), 의료 관련시설(20.1%), 도로 외 교통지역(20.1%) 등이 비교적 커버리지 정도가 높게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