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화재위험지역 도출 및 소화전 최적지 분석 썸네일
자연재난

화재위험지역 도출 및 소화전 최적지 분석

전라남도 곡성군과 경기도 안산시의 화재위험지역 도출 및 소화전 최적지 분석 결과를 통해 화재발생 예방 정책에 기여한 사례

등록일자

2023-02-02

※ 본 활용사례는 플랫폼에 탑재된 DB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사용한 DB와 이론식의 정합성 등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검토배경
최근 3년 전국 화재발생 건수 2022년 전라남도 화재발생 8,949건으로 3순위(수도권 제외) 출처 통계청 화재발생 현황 데이터 2021년 전라남도 곡성군 노후건축물 수 주거용6424 기타659 상업용613 농수산용238 문교사회용100 공업용55 공공용13 2021년 전라남도 곡성군 47%이상 노후건축물 출처 국토교통부 노후건축물 데이터

2022년 전라남도의 화재발생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3순위로 많이 발생, 최근 3년 전라남도의 화재 중 건축물 화재 발생이 가장 많음

2021년 전국 소방용수시설 설치 개소 전라남도 소방용수시설 설치개소 1순위 수도권 제외 출처 소방청 통계연보 소방용수시설 현황 데이터 옥외 소화전 설치 이슈 뉴스 옥외소화전의 체계적인 설치입지 마련 시급 출처 GT방송기사

전라남도의 소방용수시설은 수도권을 제외하면 가장 많아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세스
22021년 전국 소방용수시설 설치 개소 전라남도 소방용수시설 설치개소 1순위 수도권 제외 출처 소방청 통계연보 소방용수시설 현황 데이터 옥외 소화전 설치 이슈 뉴스 옥외소화전의 체계적인 설치입지 마련 시급 출처 GT방송기사
그 외 데이터 분석 결과 요약
화재발생 및 소화전 현황 비교 곡성 화재66 소화전319 안산397 소화전1347 시설물 현황 비교 곡성 다중이용시설181 노후건축물7,461 안산 다중이용시설361 노후건축물9,289 인구현황 취약계층 및 외국인, 주민등록 인구 곡성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어린이 노인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안산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어린이 노인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소화전 최적지 분석 결과 곡성군 소화전 설치 1순위 지역 노후건축물 다중이용시설 주민등록인구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음 안산시 소화전 설치 1순위 지역 다중이용시설 유동인구  노후건축물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