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발생 선제적 예방 정책 추진
화재 발생 요인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선제적 예방 정책 추진
등록일자
2024-07-10출처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출처 : e-나라지표, 서울 연구원, 한국전력
1.지자체별 화재-환경-사회적 시계열 데이터 수집
2. 데이터 간 상관성 분석(예시)
3. 정책적 활용방안 도출
- 서울특별시 연도별 자치구 화재 발생 건수(상위 5지역)
- 서울특별시 발화요인별 화재 건수(2018~2022)
- 서울특별시 부주의로 인한 화재 건수(2018~2022)
- 서울특별시 연도별 자치구 화재 발생 건수(상위 5지역)
- 서울특별시 발화요인별 화재 건수(2018~2022)
- - 서울특별시 부주의로 인한 화재 건수(2018~2022)
- OO구 화재 총 건수와 단독주택 수 그래프(상관관계 0.92)
- OO구 담배 꽁초 화재(부주의)와 단독주택수 그래프(상관관계 0.72)
- OO구 음식물 조리 화재(부주의)와 3인 이상 가구 그래프(상관관계 0.87)
- OO구 화재 발생 정보(총 건수, 담배꽁초, 음식물 조리)와 환경·사회적 데이터 분석결과 화재 총 건수, 담배꽁초 화재 : 단독주택 수와 높은 상관성 음식물 조리 화재 : 3인 이상 세대와 높은 상관성 ⇒ 단독주택 수가 많은 지역은 흡연 관련 홍보, 3인 세대 이상 거주지역은 주방 화재 캠페인 등의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
- 위험요인별 합산을 통하여 지역별 화재 발생 요인 수로 표시(공간분석SW QGIS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