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화재 발생 요인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선제적 예방 정책 추진
사회재난

화재 발생 선제적 예방 정책 추진

화재 발생 요인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한 선제적 예방 정책 추진

등록일자

2024-07-10
검토배경
내년발생하는 화재 (아파트-남양주시,2021 /물류센터-이천시,2021 /제일평화시장-서울시,2019 /옥외탱크저장소-고양시,2018/서문시장-대구시,2016)

출처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검토배경
환경적데이터 -GIS건물통합정보(주소,연식,용도 등) -도로현황(시군구,면적,길이 등) -건물종류별 밀집도  / 사회적데이터 -인구데이터(지역별,연령별 등) -거주인구 데이터(밀집도 등) -전력사용데이터(용도별 사용량 등)

출처 : e-나라지표, 서울 연구원, 한국전력

분석방법

1.지자체별 화재-환경-사회적 시계열 데이터 수집

화재발생데이터/ 환경사회적데이터 (인구데이터,인구밀집도,전력데이터,건물데이터,건물밀집도,도로데이터)

2. 데이터 간 상관성 분석(예시)

화재발생건수(시계열) 환경사회적 데이터  ----> 인구밀도 (인구밀도상관관계 : 0.8 높은 양의 상관성) ,인구밀집도(건물 밀집도 상관관계 :0.1 상관성 없음) ,1인 세대수 (1인 세대수의 상관관계 :-0.7 높은 음의 상관성) ----> 화재발생관련 변인들 (인구밀도 :14000이상/ 1인세대수 :6000이하)

3. 정책적 활용방안 도출

화재발생요소 보유정도 / 화재와 주거인구의 상관관계가 높은 지역으로 -> 주거지의 화재발생비중이 큰 부주의(음식물 조리)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정책 필요(주거지예방강화 등)
데이터 수집
  •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www.safetydata.go.kr)
  •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
  • 국가통계포털(kois.kr)
  • 국가화재정보시스템(nfds.go.kr)
  • 서울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
데이터 분석 예시(화재 통계)
지역별 화재발생 (최근 10년) 강남구 -4550 송파구 -3122 강서구 -2957 관악구 -2877 서초구- 2549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3년  강남구-421 송파구-304 강서구-242 관악구-299 서초구-21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4년  강남구-427 송파구-302 강서구-306 관악구-262 서초구-3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5년  강남구-504 송파구-278 강서구-301 관악구-285 서초구-303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6년  강남구-589 송파구-325 강서구-372 관악구-314 서초구-28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7년  강남구-502 송파구-318 강서구-364 관악구-286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8년  강남구-436 송파구-340 강서구-383 관악구-337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9년  강남구-456 송파구-335 강서구-331 관악구-311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0년  강남구-387 송파구-307 강서구-212 관악구-219 서초구-240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1년  강남구-391 송파구-263 강서구-223 관악구-259 서초구-2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2년  강남구-437 송파구-350 강서구-223 관악구-305 서초구-216 년도별 화재발생 시계열 그래프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3년  강남구-421 송파구-304 강서구-242 관악구-299 서초구-21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4년  강남구-427 송파구-302 강서구-306 관악구-262 서초구-3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5년  강남구-504 송파구-278 강서구-301 관악구-285 서초구-303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6년  강남구-589 송파구-325 강서구-372 관악구-314 서초구-28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7년  강남구-502 송파구-318 강서구-364 관악구-286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8년  강남구-436 송파구-340 강서구-383 관악구-337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9년  강남구-456 송파구-335 강서구-331 관악구-311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0년  강남구-387 송파구-307 강서구-212 관악구-219 서초구-240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1년  강남구-391 송파구-263 강서구-223 관악구-259 서초구-2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2년  강남구-437 송파구-350 강서구-223 관악구-305 서초구-216

- 서울특별시 연도별 자치구 화재 발생 건수(상위 5지역)

[발화요인-전체]화재건수 총27684건 비교 부주의 15586건 전기적요인6929건 미상 2463건 기계적요인 1385건 방화 322건 방화의심 275건 화학적요인 221건 기타 153건 교통사고 131건 가스누출(폭발) 100건 제품결함 95건 자연적인요인 34건

- 서울특별시 발화요인별 화재 건수(2018~2022)

[발화요인=부주의-전체]화재건수 총15586건 비교 담배꽁초 5974건 음식불 조리중 4963건 불씨,불꽃,화원방치 1942건 가연물 근접방치 1121건 기타(부주의) 760건 기기(전기,기계 등) 561건 용접,절단,연마 501건 쓰레기소각 161건 빨래삶기 141건 불장난 106건 유류취급중 44건 논,임야태우기 8건 폭죽놀이 4건

- 서울특별시 부주의로 인한 화재 건수(2018~2022)

데이터 분석 예시(화재 통계)
지역별 화재발생 (최근 10년) 강남구 -4550 송파구 -3122 강서구 -2957 관악구 -2877 서초구- 2549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3년  강남구-421 송파구-304 강서구-242 관악구-299 서초구-21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4년  강남구-427 송파구-302 강서구-306 관악구-262 서초구-3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5년  강남구-504 송파구-278 강서구-301 관악구-285 서초구-303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6년  강남구-589 송파구-325 강서구-372 관악구-314 서초구-28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7년  강남구-502 송파구-318 강서구-364 관악구-286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8년  강남구-436 송파구-340 강서구-383 관악구-337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9년  강남구-456 송파구-335 강서구-331 관악구-311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0년  강남구-387 송파구-307 강서구-212 관악구-219 서초구-240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1년  강남구-391 송파구-263 강서구-223 관악구-259 서초구-2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2년  강남구-437 송파구-350 강서구-223 관악구-305 서초구-216 년도별 화재발생 시계열 그래프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3년  강남구-421 송파구-304 강서구-242 관악구-299 서초구-21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4년  강남구-427 송파구-302 강서구-306 관악구-262 서초구-3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5년  강남구-504 송파구-278 강서구-301 관악구-285 서초구-303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6년  강남구-589 송파구-325 강서구-372 관악구-314 서초구-286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7년  강남구-502 송파구-318 강서구-364 관악구-286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8년  강남구-436 송파구-340 강서구-383 관악구-337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19년  강남구-456 송파구-335 강서구-331 관악구-311 서초구-242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0년  강남구-387 송파구-307 강서구-212 관악구-219 서초구-240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1년  강남구-391 송파구-263 강서구-223 관악구-259 서초구-231
						년도별 화재발생건수 2022년  강남구-437 송파구-350 강서구-223 관악구-305 서초구-216

- 서울특별시 연도별 자치구 화재 발생 건수(상위 5지역)

[발화요인-전체]화재건수 총27684건 비교 부주의 15586건 전기적요인6929건 미상 2463건 기계적요인 1385건 방화 322건 방화의심 275건 화학적요인 221건 기타 153건 교통사고 131건 가스누출(폭발) 100건 제품결함 95건 자연적인요인 34건

- 서울특별시 발화요인별 화재 건수(2018~2022)

[발화요인=부주의-전체]화재건수 총15586건 비교 담배꽁초 5974건 음식불 조리중 4963건 불씨,불꽃,화원방치 1942건 가연물 근접방치 1121건 기타(부주의) 760건 기기(전기,기계 등) 561건 용접,절단,연마 501건 쓰레기소각 161건 빨래삶기 141건 불장난 106건 유류취급중 44건 논,임야태우기 8건 폭죽놀이 4건

- - 서울특별시 부주의로 인한 화재 건수(2018~2022)

데이터 분석 예시(정량적 분석 – 상관관계)
 ±0.9 이상 : 매우높은상관관계 ±0.9~±0.7 : 높은 상관관계 ±0.7~±0.4 : 다소 높은 상관관계 ±0.4~±0.2 : 낮은 상관관계 ±0.2 미만: 상관관계 없음 
						화재총건수 인구밀도 0.50 1인세대 -0.49 2인세대 -0.49 3인이상세대 0.54 단독주택수 0.92 아파트 -0.48 다세대주택 0.57
						담배꽁초 인구밀도 -0.02 1인세대 0.24 2인세대 0.13 3인이상세대 -0.09 단독주택수 0.72 아파트 -0.35 다세대주택 0.16
						음식물조리중 인구밀도 0.83 1인세대 -0.83 2인세대 -0.79 3인이상세대 0.87 단독주택수 0.76 아파트 -0.26 다세대주택 0.63
데이터 분석 예시(정량적 분석 – 정성적 분석)
OO구 화재 총 건수와 단독주택 수 그래프(상관관계 0.92)

- OO구 화재 총 건수와 단독주택 수 그래프(상관관계 0.92)

OO구 담배 꽁초 화재(부주의)와 단독주택수 그래프(상관관계 0.72)

- OO구 담배 꽁초 화재(부주의)와 단독주택수 그래프(상관관계 0.72)

O OO구 화재 발생 정보(총 건수, 담배꽁초, 음식물 조리)와 환경·사회적 데이터 분석결과

- OO구 음식물 조리 화재(부주의)와 3인 이상 가구 그래프(상관관계 0.87)

- OO구 화재 발생 정보(총 건수, 담배꽁초, 음식물 조리)와 환경·사회적 데이터 분석결과 화재 총 건수, 담배꽁초 화재 : 단독주택 수와 높은 상관성 음식물 조리 화재 : 3인 이상 세대와 높은 상관성 ⇒ 단독주택 수가 많은 지역은 흡연 관련 홍보, 3인 세대 이상 거주지역은 주방 화재 캠페인 등의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

데이터 분석 예시(정량적 분석 – 통합 표출)
요인1 단독주택 해당 지역 + 요인2 3인이상 세대 거주지 + 요인3 인구밀도 높은지역

- 위험요인별 합산을 통하여 지역별 화재 발생 요인 수로 표시(공간분석SW QGIS 사용)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사례 기반의 데이터 정량·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효과적인 정책 방안 도출
  •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존 정책과 연계하여 현실적 활용방안 제시
  • 지방 보유 상세데이터와 중앙부처 제공 분석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협력기반 정책현안 해결
  • 누구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여 데이터 분석 진입방벽을 낮추고 확산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