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윈 모델 활용 급경사지 계측 및 관리 솔루션
드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모델 분석 솔루션을 통해 급경사지 붕괴 예방 및 관리의 한계점을 해결
등록일자
2024-10-10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급경사지(비탈면) 붕괴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기관에서 새로운 예방대책 제시가 요구된다. 급경사지의 관리는 현재 인력 중심의 조사를 수행하나 대상지까지의 접근 위험문제, 교통차단 시간 및 비용문제 등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드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모델을 취득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안하여 앞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행정안전부 안전모아 서비스 , 재난안전데이터공유플랫폼(급경사지), LX 맵, V-World,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
공공・민간 기관 연계를 통한 데이터 수집 비탈면 이력관리 솔루션 및 위험지도 서비스 제공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운용
드론으로 촬영된 3D 비탈면 위험지도 서비스로 점검 업무 시간 약 30% 단축 AI 분석 서비스 활용으로 1일 점검 개소가 약 4배 증가 인력을 통한 직접적인 육안 조사 대비 약 30%의 인건비 단축, 시설물 유지관리 산업의 생산성의 25% 이상 향상 및 재해율 25% 이상 감축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의 개발환경을 활용 경우 데이터 확보를 위해 필요한 기업에서 개별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예산 30% 예산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