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활용사례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홍보하는 페이지입니다.
외국인을 위한 안전 여행 서비스 SafeTrip
창업경진 대회 수상작

외국인을 위한 안전 여행 서비스 SafeTrip

다국어 지원, AI 기반 행동 지침, 접근성 강화 등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재난 대응 솔루션을 제공

등록일자

2024-10-10
검토배경
2023년 전체 방한 외래관광객 12,427,177명. 점점 증가하는 방한 여행 관심도 전 세계적으로, 재해 발생 건수 증가 안전 대한민국 여행 정보 제공 노력

기존 재난문자 시스템은 언어의 한계와 정보의 제한으로 외국인과 취약 계층이 재난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국어 지원, AI 기반 행동 지침, 접근성 강화 등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재난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함

활용데이터

통계연보 지역안전등급, 기상청 단기예보 조회서비스, 카카오 지도, 재난문자방송 발령현황, 지진옥외대피소, 민방위대피시설 등

서비스 목표
한정된 언어, 실질적인 내용 부족, 지자체별 관련 조례가 다름, 취약계층 소외, 모든 언어 지원, AI를 이용한 맞춤형 가이드라인, 모든 지역에서 간편 이용, 나이/성별/장애 정보 수집
활용 서비스
서비스 소개 - 여행 계획 서비스 소개 - 재난 안내 서비스 소개 - 안전 여행 리뷰

다양한 언어로 재난문자 제공:외국인도 재난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 사용자 맞춤형 행동 강령을 제공:나이, 성별, 장애 여부 등에 맞춘구체적인 대피 요령을 안내 이미지와 키워드를 활용한 정보 제공:재난 정보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임 음성 TTS 기능 제공:장애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 안전 지수 안내:여행 계획 작성 시 방문 지역의 안전지수를 확인하고 필요한 안전 조치를 안내 GPS를 통한 위치 추적 기능: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지역의 안전지수를 제공

활용방법
지역안전지수 이미지, 색상을 이용한 안전 지수 시각화 사용자 맞춤형 대화형 챗봇

공공데이터 API와 실시간 사용자 데이터를 융합하여 다국어 지원 재난문자 서비스와 사용자 맞춤 재난 대비 행동 강령을 제공 사용자의 위치, 나이, 성별, 장애 여부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AI 모델이 개인화된 재난 대응 방안을 생성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경우 가까운 대피소 정보를 제공 지역 안전 지수와 날씨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현재 상황에 맞는 안전 코멘트를 받도록 함

기대효과
한국 관광 사업과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 효과

다국어 지원과 맞춤형 재난 대비 기능을 통해 국내외 사용자층을 넓히고, 실시간 재난 문자 수신과 위치 기반 안전 알림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대응 효율성을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