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재난안전데이터 데이터 시각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 자료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산사고 현황
자연재난

등산사고 현황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등산사고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재난안전데이터 공유 플랫폼에서 등산사고 정보를 수집하여 발생현황, 원인 등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

등록일자

2023-03-08
발생현황
월별 등산사고 발생건수 2020~2021 1월870 2월827 3월941 4월1,269 5월 1,249 6월1,300 7월1,223 8월 1,302 9월1,741 10월2,149 11월1,191 12월888 발생월 월별 등산사고 인명피해2020~2021 1월575 2월 513 3월 554 4월801 5월 697 6월 771 7월689 8월712 9월 951 10월1,257 11월681 12월 497

최근 2년(‘20~‘21)간 발생한 등산사고는 총 14,950건이며, 8,698명(사망 192명, 부상 8,50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중, 3월에는 941건의 등산사고가 발생하였으며, 15명이 사망하고 539명이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특히, 3월은 겨울과 봄이 공존하는 시기로 도심의 한낮은 포근하지만 산에서는 여전히 기온이 낮고 찬 바람까지 불어 사고의 위험이 높다.

발생원인
원인별 3월 등산사고 발생건수 2020~2021 실족 358 조난 234 신체질환 154 기타 미상 135 추락 50 고립 10 발생건수 시간별 3월 등산사고 현황2020~2021 00~03시 7 03~06시 6 06~09시 32 09~12시 161 12~15시 318 15~18시280 18~21시 128 21~24시 9

등산사고 원인별로는 발을 헛디디거나 미끄러지며 발생하는 실족이 38.0%(941건 중 358건)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24.9%(234건),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질환 16.4%(154건)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점심을 먹고 긴장이 다소 풀리는 12시에서 15시 사이에 가장 많이(33.8%) 발생하였다.

지역별 발생 현황
지역별 3월 등산사고 인명피해2020~2021 경기223 서울173 경남84 부산66 강원49 경북49 울산 41 인천40 대구발생지역 35 전북35 전남33 충남30 광주29 충북23 대전16 제주12 세종3 발생지역></div>
            <div class=

지역별로는 경기가 2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173건, 경남 84건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활용데이터 셋